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이대로 괜찮은가?

교계종합

HOME교계뉴스교계종합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이대로 괜찮은가?
교계 및 시민단체 우려 쏟아져···

페이지 정보

교회신보 기자 작성일22-09-22 17:48

본문

▲ 학생들에게 올바른 성 가치관을 확립해 주어야 한다.         교육부 제공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이 공개되자 교계와 시민단체들의 우려가 쏟아져 나왔다. 교과서에 적용될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 시안’에서 대한민국 근대사에 공헌한 기독교에 관한 내용이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한국사 과목 시안에는 ‘근대 이전 한국사의 이해’ 부분 성취 기준과 관련하여 “근대 이전의 사상과 문화의 특징을 불교와 유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개항 이후 근대화에 지대한 역할을 했던 기독교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이에 한 교수는 “이번 교육과정 시안을 보면 근대 이전 한국사 중심에 불교와 유교가 있었음은 분명하게 드러난 반면 근대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여러 노력 가운데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개혁운동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개항 이후 한국의 근대문명을 이끄는 데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한 것이 기독교라는 것은 아무도 반박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번 교육과정 개정에 기독교가 근대사회 건설에 이바지했던 내용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전문가는 “고려는 불교, 조선은 유교 정신을 기반으로 세워졌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듯이 개항 이후 자유주의와 자본주의의 기초를 다지는 데에는 기독교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면서 “일각에서는 이런 언급이 종교교육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데 그렇지 않다.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알리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교계와 기독 역사학계에 따르면 개항 이후 다뤄져야 할 기독교 관련 내용으로 선교사들이 서구의 민주주의와 근대문화를 한국에 뿌리내리게 도왔던 점, 병원과 학교를 세워 국민을 치료하고 교육했다는 점, 수많은 기독교인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는 점 등이 거론됐다. 

시안에서 나타나는 성 개념 또한 지적됐다. 대부분 “생물학적 성에 기반한 ‘양성평등’을 50여 가지 제3의 성을 포함하는 ‘성평등’으로 바꾼 점이 우려스럽다”는 반응이다. 

낙태를 재생산권이란 이름으로 정당화하고, 동성애자(성소수자)를 사회적으로 보호해야 할 사회적 소수자로 여기고 있다는 점과 함께 동성애를 옹호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2022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시안에서 “관계적 측면의 성 개념과 성인지 감수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성 가치관을 함양하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성적 자기 결정권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정상가족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족유형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가지도록 하여, 다름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한다”고 표현했다. 

전문가는 “7년마다 한 번씩 개편되는 교육과정을 통해 초중고 교과서가 바뀌고 학교 교육의 뱡향이 결정된다. 이번 교육과정 시안을 잘 보면 동성애와 양성애 등 온갖 성적 지향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이런 사안을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결정하고 추진하려 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다음세대연구소 연구위원은 “현재 2015년 학교 성교육 표준안의 교과서는 기준을 벗어난 내용들로 학부모 단체들의 비판을 받아왔다”면서 “그럼에도 문제가 되고 있는 내용들을 시정하는 방향이 아닌 오히려 포괄적 성교육 쪽으로 방향성을 잡고 있다. 권리 위주가 아닌 올바른 성 가치관을 세워주는 성 윤리적 가치관 교육을 핵심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Category
Facebook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