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로 사역자(minister) 되게하라(10)
한국성서대 김승호 교수, 대신바이블칼리지 자문위원
페이지 정보
교회신보 기자 작성일21-11-25 13:59본문
▲한국성서대 김승호 교수
1. 평신도 사역자를 꿈꾸며 꿈을 이룬 미국 목회자: 멜빈 스테인브론(Melvin J. Steinbron, D. Min.)
스테인브론은 목양을 하는 목사가 교인들로 ‘피부로 느끼는 사랑’ (love with skin on it)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이것은 목사 혼자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에베소서 4장 11-12절의 말씀에 따라 평신도를 훈련하고 구비케 하여 목회적 돌봄 (pastoral care)을 위한 평신도 팀을 만들 때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는 전통적 목회방식은 단순히 위기가 찾아왔을 때만 하도록 하고 위기가 지나가면 관계가 끝나지만 LPM 사역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 사역임을 강조하고 있다.
소수의 목회자가 과연 몇 명의 성도를 완벽하게 돌보고 양육할 수 있는가? 점점 늘어만 가는 성도들의 문제를 누가 다 해결해 줄 것인가? 많은 슬픔, 아픔을 당하는 성도들을 누가 돌봐줄 것인가?
스테인브론은 LPM 사역, 즉 평신도에 의한 평신도 돌봄의 사역의 성경적 근거를 출애굽기 18장 17-23절에서 찾고 있다. 비록 모세가 큰 능력과 뛰어난 지도력을 갖춘 지도자였지만 하나님의 수많은 백성들을 혼자 돌보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그가 백성을 돌보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충분히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이때 장인 이드로 (Jethro)가 모세에게 “그대의 하는 것이 선하지 못하도다”(출 18:17)고 말하면서 소위 ‘목회적 돌봄의 성경적 모델’(a biblical model for pastoral care)을 제안하였다.
첫째, 18절에서 “이 일이 그대에게 너무 중함이라” 고 한 이드로의 말을 통해 비록 특출한 능력과 지도력을 구비한 모세 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모든 일을 혼자서 하려는 방식은 적절치 않음을 지적한 것이다.
둘째, 모세에게는 자신의 일을 함께해 줄 사람들이 필요했다. 모세는 “재덕이 겸전한 자 곧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진실 무망하며 불의를 미워하는 자”(21절) 을 선택했다.
셋째, 천부장과 백부장과 오십부장과 십부장의 조직을 갖추었다(21절).
넷째, 모세는 그들에게 “때를 따라 백성을 재판하게 하라”(22 절)는 구체적인 임무를 부여했는데 그 결과 공동체 전체가 유익하게 되었다 (22-23절).
스테인브론은 모세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솔직함과 장인 이드로의 충고를 받아들일 만큼 겸손함을 구비한 지도자였음을 지적하며 한 사람 혹은 소수에 의한 전통적인 목회방법으로서는 오늘과 같은 상황에서 교인들의 필요를 제대로 채울 수 없음을 지적하였다.
3) LPM 사역의 실제
LPM 사역은 평신도들이 교회 안의 성도들을 돌보는 목회 시스템이며 평신도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목회적 돌봄의 사역(pastoral care ministry)이다. 목회적 돌봄 (pastoral care)에 대해 스테인브론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목회적(pastoral)이란 목자장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주님의 양들에게 나아가는 것(벧전5:4)으로 (필요에 처한)사람들이 오기를 기다리는 의사, 변호사, 전문 상담가와 다르며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이며 그들에게 PACE(Pray. Available, Contact. Example) 사역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돌봄(care)이란 좋을 때나 슬플 때나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자신을 내어줌으로 사람들을 보살피는 것을 의미한다.“
12주에 걸친 평신도목회자 훈련세미나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훈련을 통해 평신도 목회자로서 소명을 확인하게 되고 사역에 합당한 은사를 발견하게 되며 평신도 목회자로서 필요한 자질을 구비한 후 평신도 목회자로 임명을 받게 된다.
1주: 평신도목회의 성서적 근거 (Concept & Theology of LPM)
2주: 누가 목회적 돌봄이 필요한가? (Who needs it?)
3주: 평신도목회자의 임무와 헌신 (Commitments)
4주: 평신도목회자의 소명 (The Call)
5주: 평신도 목회의 관계형성 (Building A Relationship)
6주: 경청훈련 (About Listening)
7주: 사역에 앞서 먼저 자기 자신 구비하라 (Being Precedes Doing)
8주: 영적건강을 유지하라 (Keeping Spirituality Fit)
9주: 목회적 돌봄을 위한 방문전략 (The Anatomy of A Visit)
10주: 평신도목회의 전문가가 돼라 (Being Professional)
11주: 신뢰성을 유지하라 (Confidentiality)
12주: 어려움을 기회로 바꾸라 (Turning Difficulties Into Possibilities)